이마
朝鮮語
编辑詞源1
编辑最早以中古朝鮮語 니맣〮(耶魯拼音:nìmáh)見於1447年的《釋譜詳節 / 석보상절》,,源自前中古朝鮮語 *nìmák 。在中古朝鮮語以外,全羅道方言中대망 (daemang, “forehead”)和濟州語 대맹이 (daemaeng'i, “頭”)的第二個音節似乎表明, *-mak 最初是一個獨立的音節;這兩個詞似乎和대가리 (daegari, “頭”)共用相同的第一個語素,後者被認為是複合詞。因此 *nìmák 可能是多語素的。不過,대망 (daemang, “額頭”)也可能與이마 (ima)的詞源無關。
替代寫法
编辑- 니마 (nima) — 近世
發音
编辑羅馬化 | |
---|---|
國語羅馬字? | ima |
國語羅馬字(轉寫)? | ima |
馬科恩-賴肖爾式? | ima |
耶魯拼音? | ima |
名詞
编辑이마 (ima)
同義詞
编辑古代及方言用詞 — 이마 (ima, “額頭(非粗俗用詞)”) | |||
---|---|---|---|
檢視地圖;編輯資料 | |||
方言群 | 區域 | 方言點 | 詞彙 |
標準 | 南韓標準語 | 이마 (ima) | |
北韓文化語 | 이마 (ima) | ||
古代 | 中世朝鮮語 | 니맣〮 (nìmáh) | |
近世首爾朝鮮語 | 니맣 (nima), 니마 (nima), 이마 (ima) (自19世紀) | ||
中部方言 | 京畿 | 現代首爾口語 | 이마 (ima) |
江華 | 이마 (ima) | ||
楊平 | 이마 (ima) | ||
利川 | 이마 (ima) | ||
嶺西 | 春川 | 이마 (ima) | |
原州 | 이마 (ima) | ||
麟蹄 | 이마 (ima) | ||
洪川 | 이마 (ima), 이매 (imae) | ||
橫城 | 이마 (ima) | ||
永同 | 江陵 | 이마 (ímà) | |
高原 | 이망 (imang) | ||
通川 | 이망 (imang) | ||
高城 | 이망 (imang) | ||
襄陽 | 이마 (ima), 이망 (imang) | ||
三陟 | 이마 (ímà) | ||
平昌 | 이마 (ima), 이망 (imang) | ||
寧越 | 이마 (ímà) | ||
旌善 | 이마 (ima) | ||
忠清北 | 清州 | 이마 (ima) | |
忠州 | 이마 (ima) | ||
堤川 | 이마 (ima), 이매 (imae) | ||
丹阳 | 이마 (ima) | ||
槐山 | 이마 (ima) | ||
報恩 | 이마 (ima) | ||
沃川 | 이마 (ima) | ||
永同 | 이마 (ima) | ||
忠清南 | 瑞山 | 이마 (ima) | |
天安 | 이마 (ima) | ||
禮山 | 이마 (īma) | ||
公州 | 이마 (ima) | ||
舒川 | 이마 (ima) | ||
論山 | 이마 (ima) | ||
錦山 | 이마 (ima) | ||
慶尚道方言 | 慶尚北 | 大邱 | '이마 ( ima), 이매 (ímè) |
榮州 | '이마 ( ima), 이막 (ímàk) | ||
奉化 | '이마 ( ima), 이막 (ímàk) | ||
蔚珍 | 이매 (ímè) | ||
聞慶 | '이마 ( ima), 이매 (ímè) | ||
安東 | '이마 ( ima) | ||
尚州 | '이마 ( ima), 이매 (ímè) | ||
義城 | '이마 ( ima) | ||
青松 | '이마 ( ima), 이매 (ímè) | ||
盈德 | 이매 (ímè) | ||
金泉 | '이마 ( ima), 이매 (ímè) | ||
浦項 | 이매 (ímè) | ||
星州 | 이매 (ímè) | ||
永川 | 이매 (ímè) | ||
高靈 | 이망 (ímàng) | ||
清道 | 이망 (ímàng) | ||
慶州 | 이매 (ímè), 이망 (ímàng) | ||
鬱陵 | 이매 (ímè) | ||
慶尚南 | 釜山 | 이망 (ímàng) | |
蔚山 | 이망 (ímàng), 이막 (ímàk), 이매 (ímè) | ||
昌原 | 이망 (ímàng) | ||
居昌 | 이망 (ímàng) | ||
陜川 | 이망 (ímàng) | ||
昌宁 | 이망 (ímàng), 이막 (ímàk) | ||
密陽 | 이망 (ímàng) | ||
咸陽 | 이망 (ímàng), 이막 (ímàk) | ||
山清 | 이망 (ímàng) | ||
河東 | 이망 (ímàng), 이막 (ímàk) | ||
晉州 | 이망 (ímàng) | ||
咸安 | 이망 (ímàng) | ||
金海 | 이망 (ímàng) | ||
梁山 | 이망 (ímàng) | ||
固城 | 이망 (ímàng) | ||
南海 | 이망 (ímàng) | ||
統營 | 이망 (ímàng) | ||
巨濟 | 이망 (ímàng) | ||
境外 | 延邊 | '이마 ( ima) | |
哈爾濱 | 이매 (ímè) | ||
全羅道方言 | 全羅北 | 群山 | 이마 (ima), 이매 (imae) |
益山 | 이마 (ima), 이매 (imae) | ||
完州 | 이마 (ima) | ||
鎮安 | 이마 (ima) | ||
茂朱 | 이마 (ima), 이매 (imae) | ||
井邑 | 이마 (ima), 이매 (imae) | ||
任實 | 이마 (ima), 이매 (imae) | ||
長水 | 이매 (imae), 이망 (imang) | ||
高敞 | 이마 (ima), 이매 (ime) | ||
淳昌 | 이마 (ima), 이망 (imang) | ||
南原 | 이마 (ima), 이매 (imae) | ||
全羅南 | 靈光 | 이매 (ime) | |
長城 | 이매 (ime) | ||
求禮 | 이망 (imang) | ||
木浦 | 이망 (imang), 대망 (demang) | ||
和順 | 이매 (ime) | ||
順天 | 이망 (imang), 대망 (demang) | ||
光陽 | 이매 (imae), 이망 (imang), 대망 (demang), 되멩이 (doemeng'i) | ||
靈岩 | 이매 (ime) | ||
海南 | 이마 (ima) | ||
長興 | 이망 (imang) | ||
寶城 | 이망 (imang), 야망 (yamang) | ||
高興 | 이망 (imang), 대망 (demang) | ||
麗水 | 이망 (imang), 대망 (demang) | ||
平安道方言 | 平安北 | 義州 | 니망 (nimang) |
境外 | 瀋陽 | 니마 (nima) (在遼寧朝鮮語中通用,無特定地域區分) | |
咸鏡道方言 | 境外 | 延邊 | 이'매 (i mae) |
六鎮方言 | 六鎮 | 慶興 | 니매 (nìmáe) |
境外 | 琿春 | 니매 (nìmáe) | |
濟州 | 濟州 | 이멩이 (imeng'i), 이멍 (imeong) | |
大靜 | 이멩이 (imeng'i), 이멍 (imeong) | ||
舊左 | 이멩이 (imeng'i), 이멍 (imeong), 임뎅이 (imdeng'i) | ||
西歸浦 | 이멩이 (imeng'i), 이멍 (imeong), 임뎅이 (imdeng'i) | ||
注:朝鮮語各方言中亦有粗俗用詞이마빡及其變體;粗俗用詞的使用隨對話場合而定,有些時候口語中可能更偏好使用,方言中也各自不同。 | |||
這張表是對各地朝鮮語使用者進行調查匯總後得出的,這些調查大多針對1950年以前出生的人,可能無法反映年輕使用者的語言;從詞彙上講,朝鮮和韓國各地的朝鮮與使用者皆逐漸向以首爾為中心的標準方言靠攏。 |
詞源2
编辑發音
编辑羅馬化 | |
---|---|
國語羅馬字? | ima |
國語羅馬字(轉寫)? | ima |
馬科恩-賴肖爾式? | ima |
耶魯拼音? | īma |
名詞
编辑韩国 标准语 |
이마(理馬) (ima) |
---|---|
朝鲜 文化语 |
리마(理馬) (rima) |
이마 (ima) (漢字 理馬)